SUPEX란,
Super Excellent 수준을 말하며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이다.
1.Super Excellent 수준은 다음의 두가지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
가. 이론적 절대치를 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절대치를 Super Excellent 수준으로 한다.
나. 이론적 절대치를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높은 수준은 없는가를 따져,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이라는 의미에 가장 충실한 수준을 찾는다.
2. 경영활동에서 목표를 설정할 때
절대적 최고치인 Super Excellent 수준(SUPEX)을 지향하되, 이에 곧바로 도달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주어진 시간과(Time) 가용자원(Resource)을 고려한
Super Excellent 수준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목표로 설정되는 한 단계 높은 수준인 Challenging but Achievable(CbA)의 의미도
바로 시간(Time) 과 자원(Resource)을 고려하여 달성하여야 할 Super Excellent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일처리 5단계란?
일을 빈틈없고 야무지게 처리하기 위해 거쳐야 할 다음 5단계를 말한다.
1. 입체적 Location 파악
2. KFS (Key Factor for Success)추출
3. 목표수준 설정
4. 장애요인 도출
5. 장애요인 제거방안 수립 및 실행
리더나 구성원들이 무슨 일을 하든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 처리 방법을
sk 나름대로 다섯 가지 단계로 정리한 것이 「일처리 5단계」이다.
「일처리 5단계」라는 공통된 도구를 가지고 Can Meeting 을 통해 일을 논의 하게 되면,
구성원 전체의 지식이 향상되고 리더와 같은 생각과 방법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되어
리더는 안심하고 과감하게 일을 맡길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도 구성원들은 마치 리더가 직접 모든 일을 하는 것과 같이 목표 달성을 위해 일사 불란하게 움직이고,
리더는 일일이 뛰어 다니며 확인하지 않아도 일의 진행상황을 자세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일이 완벽하게 관리되게 된다.
1. 입체적 Location파악
모든 일은 입체이며,입체적 Location파악이란 그 입체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보통 평면적인 조직도만 가지고 자신의 일을 파악하는 수가 많다. 이런 경우, 자신이 어느 조직에 소 속되는 지를 확인하여 그 조직에서 부여 받은 일만을 자신의 일로 생각하기가 쉽다.
이렇게 되면 일의 파악이 허술하게 된다. 일을 폭 넓고 깊이 있게 완벽히 파악하려면 일이 입체라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2. KFS 추출
KFS는 Key Factor for Success를 말하며,이는 Better Company 목표달성에 필요한 개인 및 단위조직이 해야 할 가장 핵심이 되는 과제나 일을 말한다.
개인 또는 모든 단위조직의 일은 회사 일의 한 부분이므로 그 일의 성공은 바로 회사 목표 달성과 직결된다.
3. 목표 수준 설정
목표수준 설정이란, KFS의 목표 수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SUPEX추구를 할 때는 목표 수준을 SUPEX로 놓게 된다.
4. 장애 요인 도출
장애요인 도출이란, 목표 수준에 도달하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을 모두 파악하는 것이다.
목표수준이 높을 수록 장애요인이 많을 뿐 아니라 해결하기 어려운 것도 많아 진다.
그러나 장애 요인을 많이 해결하면 성과는 그만큼 더 커지게 되므로 가능한 모든 장애요인을 찾아야 한다.
5. 장애 요인 제거방안 수립 및 실행
장애 요인 제거활동이야말로 경영성과로 직결되는 실천의 단계일 뿐 아니라
두뇌활용(Brain Engagement)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단계이다.
SUPEX 추구활동
SUPEX 추구과제 해결을 위해 KFS의 목표수준을 SUPEX로 하고
MPR/S/T로 모여 「일 처리 5단계」에 따라 일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1. SUPEX 추구활동을 잘하면 다음과 같은 득을 통해 회사의 경영성과 달성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가. 전 구성원이 이윤창출을 향해 직접 뛰게 된다.
나. 구성원들이 다양하고 자발적이고 의욕적인 두뇌활용을 유발시키게 된다.
다. 일을 처리하는 데 세세한 데까지 Communication이 잘 되므로 집권화 (Centralization)와 분권화
(Decentralization)가 동시에 이루어 진다.
라. 상품별로 MPR/S/T를 구성하여 추구를 하기 때문에 M.P.R.S.T 간에 Coordination이 완벽하게
이루어 진다.
마. 개인의 관리역량이 커지고 리더의 리더십이 크게 향상된다.
'B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철수 (0) | 2009.10.26 |
---|---|
Edison 법칙 (0) | 2009.10.05 |
the extreme future (0) | 2009.09.11 |
Stick (0) | 2009.09.01 |
Human networking (0) | 2009.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