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우도(十牛圖)는 심우도(尋牛圖)라고도 하는데 소를 찾아 나서는 것에 비유하여 선수행의 단계를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예로부터 소는 인도나 중국에서 농경생활의 필수적인 동물이므로 사람과 매우 친숙하다. 세존께서 성불하기 이전에 '고타마'태자였는 데 이 '고타마'가 곧 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자급자족을 내세우는 선종에서 노동과 관련 있는 소를 등장시켜 선수행의 단계를 비유하 여 마음을 조복받는 10가지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 십우도(十牛圖) -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진리인 불성을 사람과 가장 친근하고 근기가 센 동물인 소로 비유해 불성을 구하여 도를 이루고 득도의 수행과정을 열장의 그림과 시로 표현한, 선가에서 전해 내려오는 책으로 때로는 심우가(尋牛歌)라고도 불린다. 12세기경 중국 북송시대 곽암스님이 지은 것으로 소로 상징되는 자기의 본성을 구하여 부처를 이루는 과정을 다음과 같은 열가지의 순서로 구분하고 있다.
1.소를 찾는다. (尋牛)
소를 찾아가는 첫단계, 인간이 불법을 구하고 자신의 본성이 무엇인가를 찾기 위해 원심願心을 일으키는 단계.
2.소의 발자취를 보았다. (見跡)
깊은 마음속으로 들어가 알 수 없지만 망상의 잡초와 번뇌의 숲사이에 나 있는 소의 발자국을 발견한 경지. 자신의 본성을 본 경지이다.
3.소를 발견하였다. (見牛)
수행자가 마침내 마음의 깊은 숲속에서 스스로 자생하면서 방목되고 있는 소를 보았다. 즉 자신의 성품을 보아 견성한 것이다.
4.소를 붙잡았다. (得牛)
마음속에 들어 있는 소를 보았으니 도망치지 않도록 물러서지 않고 단단히 붙들어야 한다. 자성은 기회만 있으면 도망치거나 자신을 망치도록 저항을 하기 때문에 단단히 묶어야 한다.
5.소을 먹여 길들인다. (牧牛)
소의 야성을 길들이기 위해 코뚜레를 꿴 뒤 풀을 먹여 소를 길들여야 한다.즉 자성을 키워 내 뜻대로 움직이게 한다
6.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 온다. (騎牛歸家)
잘 길들인 소를 내 것으로 하여 소를 타고 마음의 본향인 자기자신으로 돌아가는 단계이다.이제 번뇌도 끊기고, 망상도 끊기고 욕망도 끊겨 소는 무심하고 그 등 위에 있는 목동 역시 무심하다.
7.소는 없어지고 사람은 있다. (忘牛存人)
깨쳤다는 즉 소라는 자성조차 사라진 경지를 의미한다. 깨쳤다는 병은 수행인이 뛰어넘어야 할 가장 무서운 덫이다. 깨쳤으면 그 깨침을 잊어버려야 한다. 깨쳐 소를 얻었다는 것도 잊어야 한다.
8.사람도 없고 소도 없다. (人牛俱忘)
깨친 소도 잊고 마침내 깨친 자신 마저 잊어버리는 경지다.깨침도, 깨쳤다는 법도, 깨쳤다는 사람도 없으니 이는 모두 공(空)이다. 십우도에선 원으로 그려졌다.
9.본래로 돌아간다.(返本還源)
그저 그대의 모습, 깨쳤다는 성인의 모습과 범부의 모습이 다를 바가 없다.
10. 시가지에 들어간다. (入廛垂手)
이제 거리로 돌아가 손을 사용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경지이다. 결국 일반적인 성인과 예수님이나 부처님께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억만창생 중생속으로 돌아오셨다는 것이다.
'Pe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Inner Game (0) | 2010.06.24 |
---|---|
믿는 만큼 이루워진다 (0) | 2010.06.22 |
[스크랩] 나, 그리고 당신에 대한 반성문 (0) | 2010.05.25 |
의식 단계 (0) | 2010.05.12 |
Maum meditation (0) | 201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