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

ROE

Dong E (東夷) 2009. 11. 2. 15:49

1.ROE

ROE란 Return of equity의 약어로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총계 X100 )

이는 기업의 생산활동에 투입된 자본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자본에는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이 있는데 ROE는 타인자본을 제외한 순수한 자기자본의

효율적인 운영 측면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ROE가 10%인 경우, 주주가 연초에 1,000원을 투자한다면 연말에 100원의 이익을 낸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 ROE가 높은 기업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으로 평가되어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PBR

주가순자산 비율(Price Book-value Ratio: PBR)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는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순자산이 주가를 몇 배 창출했느냐를 의미합니다.

( PBR = 주가/주당순자산 )

PBR 이 높다는 것은 시장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성장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나머지 조건들이 동일한 경우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이 낮은 기업, 즉 PBR이 낮은 기업은 주식 시장에서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PER

이제 주가수익률이라고 부르는 PER(price earnings ratio)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나눈 값으로 주당 순이익의 몇배가 주가로 나타나는가를 의미합니다.

( PER = 주가/EPS )

이 주가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EPS가 평균수준인데 주가가 높은경우와, 주가는 평균수준인데 EPS가 너무 낮은 경우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의 경우, 이 기업의 주가가 시장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따라서 이 지표를 통하여 유사기업의 PER을 비교해봄으로써 어떤 기업이 저평가 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업종의 기업의 PER을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A기업의 PER이 5이고 B기업의 PER이 10인경우, A,B가 속한 업종의 평균 PER이 7인 경우에

A기업은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보면 되고, B기업은 상대적으로 고평가 되어 있다고 봅니다.

절대적인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PER이 10이하일 경우 저 PER로 분류됩니다.

'Fu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d marketer  (0) 2011.06.09
Big think strategy  (0) 2010.03.31
워렌 버핏의 주식투자법  (0) 2009.10.08
global warming  (0) 2009.05.18
부동산 투자전략  (0) 2009.04.29